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하려는 상호관세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데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597.97포인트(1.42%) 오른 42,583.32에, 스탠드더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0.01포인트(1.76%) 상승한 5,767.5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04.54포인트(2.27%) 뛴 18,188.59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2일 발표할 상호관세 정책에서 일부 국가는 관세 부과를 면제받을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투자심리가 자극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가진 회견에서 "나는 많은 국가(a lot of)에 면제를 줄 수도 있다"며 "그것은 상호적이지만 우리는 그것(상대국의 관세)보다 더 좋게 대할(nice)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지만, 시장에서는 상호관세 부과를 면제받는 국가가 나올 가능성에 더 주목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매체들이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 관세 발표 때 품목별 관세를 동시에 발표하는 것은 보류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한 것도 이 같은 낙관론을 뒷받침했다.
무역전쟁 우려 완화에 경기 민감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경기에 민감한 S&P 500 임의소비재 업종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7%나 급등했고, 중소형 종목으로 구성된 러셀2000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2.55% 상승했다. 반도체와 인공지능(AI)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급등했다.
주요 종목 중에서는 11.93%나 급등한 테슬라가 단연 돋보였다. 무역전쟁 우려가 완화된 데 더해,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직원들을 상대로 “주식을 팔지 마라”고 말한 게 알려진 영향이다.
엔비디아(3.15%), 메타(3.79%), 알파벳(2.25%) 등 최근 조정 국면에서 낙폭이 컸던 대형 기술주들에 대한 저가매수세도 유입됐다.
아이온큐(17.34%), 리게팅컴퓨터(7.83%), 퀀텀컴퓨팅(18.4%) 등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들도 엔비디아 GTC 이벤트로 급락한 데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으로 급등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일부 프로그램의 비용을 인상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7% 이상 뛰었다.
미국 차세대 최첨단 전투기 사업자로 선정된 보잉은 이날도 주가가 1% 이상 올랐다.
반면 세계 최대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투자등급을 하향 조정했다는 소식에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비트코인 최다 보유 기업으로 유명한 소프트웨어업체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최근 일주일간 비트코인 6.911개를 현금 5억8천410만달러에 추가 매입했다고 밝힌 후 주가가 10% 이상 올랐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혼재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3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4.3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 50.8을 웃돌았다. 2월 수치인 51.0보다도 높았다.
반면 3월 제조업 PMI 예비치는 49.8로 내려갔다. 시장 예상치 51.8에 못 미쳤고 직전월 확정치 52.7과 비교해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35.2%로 전날 마감 무렵 대비 13%포인트가량 올랐다. 대신 25bp 인하 확률은 67.3%에서 59.0%로 내려왔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80포인트(9.34%) 밀린 17.48을 기록했다.